사주(현묘님강의정리)

[250408 / 고급 4강] 십이운성과 종격

Hwarim96 2025. 4. 12. 18:47

>>출처 : 25.04.08 명리학자 "현묘" 5기 수업반 강의<<
이 글은 5기 수업반 수강생이 강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무단 공유 및 복제를 금합니다.


십이운성이란?

  • 특정 지지와 천간의 관계를 통해 천간의 "나이 · 기분 · 상황 · 상태 · 조건 · 분위기"를 확인하는 방법론
  • 하나의 천간이 개별의 지지를 만날 때 각각 어떤 입장에 처하는지 정리한 이론이다.

장점

  • 12개의 지지의 흐름안에서 현재의 상태 파악 가능 (변화과정 관찰 가능)
  • 천간의 힘 뿐 아니라, 구체적인 상태 파악 가능
  • 탄생과 성장, 쇠약과 죽음이라는 인간사의 관점에서 변화 관찰 가능

천간의 상황을 확인하는 방법론들

  • 십신 : 천간에 대한 지지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음.
  • 왕상휴수사 : 천간의 힘의 크기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
  • 억부론 : 천간의 힘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음.
  • 십이운성 : 천간의 상태와 변화과정을 확인할 수 있음.

십이운성의 활용예시

일간 경금 기준,

신금 = 건록(建祿)

자수 = 사(死)

 

일간을 제외한 다른 천간이 사주원국의 지지들에 의해 어떤 상태에 놓여있는지도 확인 가능

십이운성의 각 단계의 의미

  • 목욕 : 세상에 모습을 드러냄, 호기심, 성장에 대한 욕망, 어린 아이의 순수함, 설익은 욕망
  • 관대 : 사모관대를 씀(결혼식), 강하게 자신의 힘을 뽐냄, 서툴고 조절하기 어려운 힘
  • 건록 : 강한 힘을 뽐냄, 왕성한 힘을 자랑하는 시기
  • 제왕 : 정점에 오름, 경쟁하면서 자신의 힘을 과시함. 강한 욕망
  • 쇠 : 쇠약해짐. 내려놓을 수 있는 단계
  • 병 : 병약해짐. 주변의 관심과 사랑을 호소함
  • 사 : 죽음. 스스로 활동을 접음
  • 묘 : 무덤으로 들어감. 회한과 소멸, 허무, 정리, 정돈
  • 절 : 완전히 끊어져서 사라짐, 완전한 끝과 시작, 끝에서 다시 시작되는 과감함, 극한 변동
  • 태 : 생명이 맺힘. 무한한 가능성과 이상, 아주 약함 힘
  • 양 : 보호받으며 길러짐. 안정적인 성장과 발전, 주변의 조력
  • 장생 : 태어남. 배움에 최적화 가능성, 깨끗하고 순수함. 주변의 사랑과 은총

십이운성의 역사

십이운성의 기록들 1. 회남자

회남자 (BC 130)

한나라 회남왕 유안(劉安)의 저서(편저) 제자백가의 사상을 모은 책.

음양가, 도가, 법가, 유가, 병가의 주장을 담고 있으나 주된 내용은 음양가와 도가

 

목은 해에서 낳고, 에서 장성하고 에서 죽는다. → 해묘미 삼합의 기원
화는 인에서 낳고, 에서 장성하고 에서 죽는다. → 인오술 삼합의 기원
토는 오에서 낳고, 에서 장성하고 에서 죽는다. → 오술인
금은 사에서 낳고, 에서 장성하고 에서 죽는다. → 사유축 삼합의 기원
수는 신에서 낳고, 에서 장성하고 에서 죽는다. → 신자진 삼합의 기원
오행이 승하는 것은 일(1)에서 태어나고 오(5)에서 성장하고 구(9)에서 마친다.
하나의 오행을 인간의 삶에 비유해서 이해하는 방식 = 십이운성의 적용

십이운성의 기록들 2. 오행대의

오행대의 (AD 600)
수나라 소길의 저서 수나라에 전해지던 오행에 대한 모든 자료를 모은 책
목은 에서 기운을 받고, 에서 배태하며, 에서 기르고, 에서 태어나며, 에서 목욕하고, 에서 관대하며, 에서 임관하고, 에서 왕성하며, 에서 쇠하고, 에서 병들며, 에서 죽고, 에서 장사지낸다.

  • 오행 토의 경우, 십이운성의 체계로 정리되지 않음 오행대의에서 오행 토는 오행 화와 같은 기운으로 정의됨.

죽는 것도 쉽지 않은 土

만약 오행 토가 오행 화와 같이 취급된다면, 오행 토 역시 오행 화가 죽는 곳인 술토에서 죽어야 하나,

술토에서 장례를 치러야 하지만, 술토는 토의 어머니인 화가 묻힌 곳이다. 어머니와 같은 무덤을 쓸 수는 없는 법.

그렇다면 축토에서 장례를 치러보자. 축토는 수의 자식인 금이 묻힌 곳이다. 자식과 같은 무덤을 쓸 수는 없는 법.

그렇다면 미토에서 장례를 치러보자. 미토는 토를 극하는 목이 묻힌 곳이다. 원수와 같은 무덤을 쓸 수는 없는 법.

그렇다면 진토에서 장례를 치러보자. 진토는 토의 아내인 수가 묻힌 곳이다. 아내와 같이 무덤을 쓴다니 이보다 더 좋을 수 있을까?

 

십이운성의 기본 개념은

천간을 기준으로 잡고,

지지에 따라 천간이 어떤 종류의 힘을 갖느냐를 따지는 것

 

그런데 오행 토를 파악하기 위해 진토, 미토, 술토, 축토에 해당하는 십이운성을 모두 정리한 개념도 등장.

  • 기본 개념을 파괴하면서까지 어떻게든 오행 토를 설명하고 싶었음 ( 천간 - 지지 OK, 지지 - 지지 ? )
  • 오행 토에 대한 이론이 난립했음을 알 수 있음.

회남자의 이론을 그대로 이어오다.

인오술은 화의 자리이다. 속에는 생겨나는 화가 있고, 속에는 죽은 화가 있다.

해묘미는 목의 자리이다. 속에는 생겨나는 목이 있고, 속에는 죽은 목이 있다.

신자진은 수의 자리이다. 속에는 생겨나는 수가 있고, 속에는 죽은 수가 있다.

사유축은 금의 자리이다. 속에는 생겨나는 금이 있고, 속에는 죽은 금이 있다.

 

미술축술은 토의 자리이다.

미 속에는 왕한 토가 있고, 진 속에는 죽은 토가 있으며,

축 속에는 쇠한 토가 있고, 술 속에는 장성한 토가 있다.

 

!! 토를 정리하지 못해 토의 특성을 여러 가지로 나눔 !!

“토는 수에서 죽는다.”

십이운성의 기록들 3. 낙록자부주

낙록자부주 (AD1130)

송나라 석담영 & 왕정광의 저서

송대의 명리학을 알 수 있는 책. 고법과 신법을 이어주는 징검다리 역할

  • 특징 1. 십이운성 명명 방식의 변화
  • 특징 2. 오행 토를 화와 같이 묶어서 판단함 (화토동행)
  • 특징 3. 오행의 음간과 양간에 따른 십이운성을 나눠서 생각하기 시작함

십이운성의 기록들 4. 이허중명서

이허중명서 (AD1100??)

당나라의 유명한 도사 이허중의 이름을 빌린 책

이론이나 용어를 미루어 볼 때 낙록자부주와 비슷한 시기(송대)에 출판된 것으로 판단

송대의 명리학을 알 수 있는 책.

고법과 신법을 이어주는 징검다리 역할을 함.

  • 특징 1. 십이운성 명명 방식의 변화
  • 특징 2. 오행 토를 수와 같이 묶어서 판단함 (수토동행)
  • 특징 3. 오행의 음간과 양간에 따른 십이운성을 나눠서 생각하기 시작함

십이운성의 기록들 5. 연해자평

연해자평 (AD1300??)

송나라의 명리학 이론을 모은 책.

서자평의 이름을 내세우고 있으나 책의 구성방식으로 볼 때 송대의 이론을 모은 책이며, 송대 말에 정리된 것으로 추정.

신법을 열어주는 책.

  • 특징 1. 십이운성 명명 방식의 정착
  • 특징 2. 오행 토와 화를 같이 묶어서 판단함 (화토동행)
  • 특징 3. 각 천간별 십이운성의 정리 정착 (음간 · 양간의 구분)

십이운성의 기록들 6. 명리정종

장남 신봉 신봉통고명리정종 (AD1560)

40년간 실관을 거쳐 명리학 이론을 정립함

  • 특징 1. 연해자평의 십이운성 방식을 그대로 적용
  • 특징 2. 주요 간명은 병약설, 억부론, 용신 (기신) 법으로 하나 상황에 따라 십이운성을 일부 사용하기도 함.
    입묘(入墓) "묘墓에 들었다."
    입고(入庫) "창고庫에 들었다.” “재고(財庫)에 들었다."
    는 방식으로 墓지에 이르면 천간의 기운이 완전히 위축된 것으로 판단함.
  • 시사점 : 송 ~ 명대를 거치며 연해자평의 십이운성의 방식이 정착되어 사용되었음.

십이운성의 기록들 7. 삼명통회

육오 만민영 삼명통회 (AD1560)

당대의 명리학 이론을 모은 백과사전

  • 특징 1. 연해자평의 십이운성 방식을 그대로 적용
  • 특징 2. 천간을 양과 음에 따라 생(生)과 사(死)로 구분함.
    ex.) 갑목 = 사(死)목, 을목 = 생(生)목, 병화=사(死)화, 정화=생(生)화 ….
  • 특징 3. 무토와 기토가 병화와 정화를 따라가는 것에 대해 길게 서술함
    → 당대에도 화토동행에 대한 논란이 있었음을 암시

십이운성의 기록들 8. 명리약언

명리약언 (AD1660)

명나라 후반 ~ 청나라 초반 최고 지식인이 정리한 최초의 명리학 교과서

명나라 때까지의 명리 관련 이론을 확인할 수 있음

 

연해자평의 십이운성 이론을 통렬히 비판함

  • 근거 1. 양생음사, 음생양사의 방법론에서 음간의 경우, 천간의 기운을 설기하는 지지에서 생하고, 천간을 생하는 지지에서 죽는다? 말이 안 됨
    ex) 을목은 장생지인 오화는 을목의 기운을 빼고, 사지인 해수는 을목의 기운을 더해줌. 십이운성의 방식과 오행의 상생상극이 어긋남 !!
  • 근거 2. 고전에서 묘를 논할 때도 목의 묘는 未, 화의 묘는 戌, 토의 묘는 辰, 금의 묘는 丑, 수의 묘는 辰로 논했을 뿐, 음양을 구분하지 않음
    갑목과 을목은 음양이 나뉠 뿐, 생목과 활목으로 나눌 수 없음. 같은 곳에서 살고 같은 곳에서 죽음. 음과 양은 동생동사하는 것이 옳음 !!
  • 근거 3. 목욕 = 패敗= 음욕살? 관대? 제왕? 용어의 사용이 이치에 어긋남(용어에 현혹되지 말 것)
  • 근거 4. 화토동행? 수토동행? 토는 다른 사행을 따르지 않음. 굳이 따지자면 화토동행이 맞음. 토의 십이운성을 논하지 말라 !!

십이운성의 기록들 9. 자평진전

심효첨 자평진전 (AD1760)

청나라 지식인이 정리한 월지 격국론의 교과서

연해자평의 십이운성 이론을 인정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이해함, 십이운성과 억부론의 통합을 시도함.

  • 특징 1. 양생음사, 음생양사의 방법론을 양간과 음간의 차이로 이해함. 양간은 기(氣), 음간은 질(質)
    ex) 갑목이 겨울인 해수에서 장생하는 것은 그 안에 기가 차오르는 것, 을목이 해수에서 죽는 것(死)은 실제로 잎이 떨어지는 것으로 이해함.
  • 특징 2. 용어를 글자 그대로가 아니라 비유적으로 이해함
    ex) 제왕은 왕이 된다는 것이 아니라, 기운이 왕성하다는 것, 목욕은 음탕한 것이 아니라 어린아이를 목욕시키며 기른다는 것.
  • 특징 3. 庫고 墓묘에 이르면 기운이 죽는 것이 아니라 뿌리가 되는 것.
    ex) 병화는 술토에서 무덤에 묻히는 것이 아니라 술토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

십이운성의 기록들 10. 적천수천미

임철초 적천수천미(AD1820)

억부론의 탁월한 해설서. 명리약언의 영향을 많이 받음.

1. 연해자평의 십이운성 이론을 부정하고 십이운성과 억부론의 통합을 시도함.

2. 명리약언과 자평진전의 의견을 종합함

  • 특징 1. 양음동생동사 주장 (명리약언)
  • 특징 2. 용어를 글자 그대로가 아니라 비유적으로 이해함 (자평진전)
  • 특징 3. 庫고 墓묘에 이르면 천간의 기운이 죽는 것이 아니라 뿌리가 되는 것 (자평진전)

십이운성 비판

"병술" 이라는 간지로 바라본 억부와 십이운성 차이

 

억부론

병화가 술토 (신금, 정화, 무토) 를 만나면,

십신상으로는 정재, 겁재, 식신이므로, (-) (+) (-)

통근법으로는 지장간의 정화에 뿌리를 두고 있음.

통근 비율로는 지지에 30% 힘이 있음.

 

즉, 뿌리가 있음. 병화는 정화라는 뿌리에 기대 버틸 수 있음 !

VS

십이운성

병화가 술토 (신금, 정화, 무토) 를 만나면,

십이운성의 방식으로는,

병화는 “인목에서 장생하고, 오화에서 왕성하며, 술토에서 고(창고, 묘지)에 들어간다.

따라서 십이운성을 적용하면, 병화가 술토를 만나면 숨어들어 힘이 위축됨.

 

즉, 완전히 숨어듬. 병화는 술토에의해 완전히 위축됨 !

 

→ 결론 : 억부론자라면 십이운성의 이해 방식을 버려야한다.

십이운성을 적극 활용하는 주의자라면, 억부로 사주를 볼 필요가 없다.

둘이 완전히 달라 일관성이 맞지 않는다.


종격의 이해

용신이지만 쓰기 어려운 상황

  • 전제 1. 용신은 약한 기운
  • 전제 2. 용신은 균형을 담당
  • 전제 3. 기신은 용신을 극하며, 용신이 운에서 오기만을 기다림.

상황 → 사주과 완전히 하나의 오행으로 압도된 경우, 용신이 원국에 존재 or 운으로 들어올시에 용신은 어떻게 될까?

결론 → 세력을 장악한 중심기운 (기신) 에 의해 극을 당한다.

 

종격이란?

정의 : 원국이 하나의 오행으로 압도되었을 때, 억부적 논리가 아닌 새로운 용신을 구해야한다는 방법론

POINT : 성향의 문제가 아닌 길흉의 관점으로 이해해야 함.

성향

재성이 많은 사주 : 재성을 많이 추구함 / 재성이 너무 많은 종재격 사주 : 재성을 아주 많이 추구함.

길흉

재성이 많은 사주 - 길 : 비겁의 방향 / 재성이 너무 많은 종재격 사주 - 길 : 재성의 방향

종격의 종류

  • 비겁 : 종왕격 (從旺) – 일행득기격
    곡직격(木), 염상격(火), 가색격(土), 종혁격(金), 윤하격(水)
  • 식상 : 종아격 (從兒)
  • 재성 : 종재격
  • 관성 : 종관격, 종살격
  • 인성 : 종강격(從强)
  • 비겁전왕, 식상전왕, 재성전왕, 관성전왕, 인성전왕(專旺)

종격의 길흉 - 비겁전왕 (종왕격)

  • 비겁운 : 익숙함 - 탈이 없음. 자신의 기운이 운에서 들어오는 것으로 잘 이해하고 있고 잘 쓸 수 있음
  • 식상운 : 나쁘지 않음 - 원국의 강한 기운이 식상으로 해소됨
  • 재성운 : 매우 좋지 않음 - 원국에 비겁이 아주 많은 상황에서 재성의 등장으로 재성이 파극당함(군비쟁재, 군겁쟁재)
  • 관성운 : 문제가 많음 - 원국의 강한 요소를 극하려 덤벼들기에 오히려 극하는 요소가 무력화되어 부작용이 드러남
  • 인성운 : 나쁘지 않음 - 인성이 비겁을 생해주는 것이 큰 부담이 없음. 어차피 많은 기운이니까
  • 나쁜운 : 재성, 관성
  • 좋은운 : 인성, 비겁, 식상
  • POINT : 일간이 너무 심하게 강해서 거스르면 독이 됨. 밸런스가 무너졌을 때, 길흉을 찾기 쉽지 않음.

종격의 길흉 - 식상전왕 (종아격)

  • 비겁운 : 나쁘지 않음 - 비겁이 식상을 생해주는 것이 큰 부담이 없음. 어차피 많은 기운이니까
  • 식상운 : 익숙함 - 탈이 없음. 자신의 기운이 운에서 들어오는 것으로 잘 이해하고 있고 잘 쓸 수 있음
  • 재성운 : 나쁘지 않음 - 원국의 강한 기운이 재성으로 해소됨
  • 관성운 : 매우 좋지 않음 - 원국에 식상이 아주 많은 상황에서 관성의 등장으로 관성이 파극당함
  • 인성운 : 문제가 많음 - 원국의 강한 요소를 극하려 덤벼들기에 오히려 극하는 요소가 무력화되어 부작용이 드러남
  • 나쁜운 : 관성, 인성
  • 좋은운 : 비겁, 식상, 재성
  • POINT : 식상이 너무 강하기에 거스르면 오히려 독이 된다.

종격의 길흉 - 재성전왕 (종재격)

  • 비겁운 : 문제가 많음 - 원국의 강한 요소를 극하려 덤벼들기에 오히려 극하는 요소가 무력화되어 부작용이 드러남
  • 식상운 : 나쁘지 않음 - 식상이 재성을 생해주는 것이 큰 부담이 없음. 어차피 많은 기운이니까
  • 재성운 : 익숙함 - 탈이 없음. 자신의 기운이 운에서 들어오는 것으로 잘 이해하고 있고 잘 쓸 수 있음
  • 관성운 : 나쁘지 않음 - 원국의 강한 기운이 재성으로 해소됨
  • 인성운 : 매우 좋지 않음 - 원국에 재성이 아주 많은 상황에서 인성의 등장으로 인성이 파극당함
  • 나쁜운 : 인성, 비겁
  • 좋은운 : 식상, 재성, 관성
  • POINT : 재성이 너무 강하기에 거스르면 오히려 독이 된다.

종격의 길흉 - 관성전왕 (종관격, 종살격)

  • 비겁운 : 매우 좋지 않음 - 원국에 관성이 아주 많은 상황에서 비겁의 등장으로 비겁이 파극당함
  • 식상운 : 문제가 많음 - 원국의 강한 요소를 극하려 덤벼들기에 오히려 극하는 요소가 무력화되어 부작용이 드러남
  • 재성운 : 나쁘지 않음 - 재성이 관성을 생해주는 것이 큰 부담이 없음. 어차피 많은 기운이니까
  • 관성운 : 익숙함 - 탈이 없음. 자신의 기운이 운에서 들어오는 것으로 잘 이해하고 있고 잘 쓸 수 있음
  • 인성운 : 나쁘지 않음 - 원국의 강한 기운이 인성으로 해소됨
  • 나쁜운 : 비겁, 식상
  • 좋은운 : 재성, 관성, 인성
  • POINT : 관이 너무 강하기에 거스르면 오히려 독이 된다.

종격의 길흉 - 인성전왕 (종강격)

  • 비겁운 : 나쁘지 않음 - 원국의 강한 기운이 비겁으로 해소됨
  • 식상운 : 매우 좋지 않음 - 원국에 인성이 아주 많은 상황에서 식상의 등장으로 식상이 파극당함
  • 재성운 : 문제가 많음 - 원국의 강한 요소를 극하려 덤벼들기에 오히려 극하는 요소가 무력화되어 부작용이 드러남
  • 관성운 : 나쁘지 않음 - 관성이 인성을 생해주는 것이 큰 부담이 없음. 어차피 많은 기운이니까
  • 인성운 : 익숙함 - 탈이 없음. 자신의 기운이 운에서 들어오는 것으로 잘 이해하고 있고 잘 쓸 수 있음
  • 나쁜운 : 식상, 재성
  • 좋은운 : 관성, 인성, 비겁
  • POINT : 인성이 너무 강하기에 거스르면 오히려 독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