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현묘님강의정리)

[250218 / 중급 6강] 지지들의 관계

Hwarim96 2025. 2. 20. 09:40

>>출처 : 25.02.18 명리학자 "현묘" 5기 수업반 강의<<
본 내용은 5기 수업반인 학생으로서 강의내용을 정리한 것이므로,
무단 공유 및 복제를 금합니다.

 

 I. 지지들의 관계 - 방합 

 

방합(方合) : 같은 계절을 의미하는 지지들끼리의 모임

  생지 왕지 고지
수의 방합 해(亥) 자(子) 축(丑)
목의 방합 인(寅) 묘(卯) 진(辰)
화의 방합 사(巳) 오(午) 미(未)
금의 방합 신(申) 유(酉) 술(戌)

 

목의 방합 (봄의 방합)_ 인묘진 (寅卯辰)

  • 인목 (병화 + 갑)
    묘목 (을)
    진토 (을 + 계수 + 진토)
  • 함께있으면 강화되는 오행 : 목(木)
  • 지장간의 관점에서 이해와 활용
    • 지지에 인묘진 · 인묘 · 묘진 · 인진이 모여있다면, 지장간의 목기운의 연합으로 목기운이 강화됨.

화의 방합 (여름의 방합)_ 사오미 (巳午未)

  • 사화 (경금 + 병)
    오화 (정)

    미토 (정 + 을목 + 기토)
  • 함께있으면 강화되는 오행 : (火)
  • 지장간의 관점에서 이해와 활용
    • 지지에 사오미 · 사오 · 오미 · 사미가 모여있다면, 지장간의 화기운의 연합으로 화기운이 강화됨.

금의 방합 (가을의 방합)_ 신유술 (申酉戌)

  • 신금 (임수 + 경)
    유금 (신)

    술토 (신 + 정화 + 무토)
  • 함께있으면 강화되는 오행 : 금(金)
  • 지장간의 관점에서 이해와 활용
    • 지지에 신유술 · 신유 · 유술 · 신술이 모여있다면, 지장간의 금기운의 연합으로 금기운이 강화됨.

수의 방합 (겨울의 방합)_ 해자축 (亥子丑)

  • 해수 (갑목 + 임)
    자수 (계)

    축토 (계 + 신금 + 기토)
  • 함께있으면 강화되는 오행 : 수(水)
  • 지장간의 관점에서 이해와 활용
    • 지지에 해자축 · 해자 · 자축 · 해축이 모여있다면, 지장간의 수기운의 연합으로 금기운이 강화됨.

방합의 인문학적 해석

방합은 같은 계절과 시간을 의미하는 지지끼리의 결합임.

기운이 (해자축) (인묘진) (사오미) (신유술) (해자축)의 순서대로 흘러가며 반복한다고 보았을 때,

방합은 바로 옆 인접한 기운끼리의 결합,

익숙한 기운, 친밀한 기운의 결합으로 볼 수 있음.

 

예를 든다면, 친밀한 학창시절의 친구, 가족을 결합으로 볼 수 있다.

지장간의 관점에서 (토를 제외하면) 정기의 같은 오행끼리 결합하여 시너지 효과가 발생한다.

 

방합의 해석 POINT !

지지에 해수 3개 (亥 亥) 와 해자축 (亥子丑) 이 놓여 있는 것은 무슨 차이일까?
지지에 해수 3개 = 오행적으로 치우쳐짐 + 음양적으로도 치우쳐짐

여기에 만약 사화 (巳) 운이 오게 된다면 변동성이 극심해짐.

 

반면, 해자축이 있다면 = 오행적으로 치우쳐짐 + 음양적으로는 조화와 균형이 맞음.

해수 (양), 자수 (음), 축토(토)로써, 음양과 중재의 기운을 모두 갖춰 안정적인 오행 수의 기운을 이룩.

여기에 만약 사화 (巳) 운이 오게 된다면 조화와 균형을 이룰 수 있음.

 

즉, 방합은 계절을 이루는 오행의 기운이 양 + 음 + 토 로써, 조화를 이뤄 안정적으로 힘을 발휘하는 상황을 의미

가운데 낀 축토의 기능 저하(될 수 있음)
왼쪽 축토의 기능 저하(될 수 있음)
오른쪽 축토의 기능 저하(될 수 있음)

 II. 지지들의 관계 - 삼합 

 

삼합(三合) : 네 칸 건너에 있는 지지들끼리의 모임

  생지 왕지 고지
수의 방합 신(申) 자(子) 진(辰)
목의 방합 해(亥) 묘(卯) 미(未) 
화의 방합 인(寅)  오(午) 술(戌) 
금의 방합 사(巳) 유(酉) 축(丑) 

 

삼합의 기본 전제는 시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지지들이 원인과 결과를 만들어내는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

과거 + 현재 + 미래의 결합

 

목의 삼합 (봄의 삼합)_ 해묘미 (亥卯未)

  • 해수 (갑 + 임수)
    묘목 (을)
    미토 (정화 + 을 + 기토)
  • 해수에서 시작해,
    묘목에서 왕성함이 절정에 이르고,
    미토에서 마지막 기세를 올린 다음 사라짐.
  • 해수는 목기운의 과거이자, 출발 · 예비 · 발통 · 도약 · 씨앗
    묘목은 목기운의 현재이자, 진행 · 완성 · 정점 · 꽃
    미토는 목기운의 미래이자, 도착 · 마무리 · 정리 · 착지 · 낙화
  • 과거 + 현재 + 미래를 연결해주는 삼합의 의미는 지장간으로 이해할 수 있음.
    • 생지의 중기가 양간으로써, 목기운을 힘차게 열어줌 (기세)
    • 왕지의 정기에서 목기운은 완성됨 (본체)
    • 고지의 중기에 음간인 목기운을 저장함 (씨앗)
  • POINT ! → 삼합을 이루는 기운은 중기에서 작용.
    삼합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는 이유 → 삼합의 힘은 중기의 강건함을 상징하기 때문

화의 삼합 (여름의 삼합)_ 인오술 (寅午戌)

  • 인목 (병 + 갑목)
    오화 (정)
    술토 (신금 + 정 + 무토)
  • 인목에서 시작해,
    오화에서 왕성함이 절정에 이르고,
    술토에서 마지막 기세를 올린 다음 사라짐.
  • 인목은 목기운의 과거이자, 출발 · 예비 · 발통 · 도약 · 씨앗
    오화는 목기운의 현재이자, 진행 · 완성 · 정점 · 꽃
    술토는 목기운의 미래이자, 도착 · 마무리 · 정리 · 착지 · 낙화
  • 과거 + 현재 + 미래를 연결해주는 삼합의 의미는 지장간으로 이해할 수 있음.
    • 생지의 중기가 양간으로써, 목기운을 힘차게 열어줌 (기세)
    • 왕지의 정기에서 목기운은 완성됨 (본체)
    • 고지의 중기에 음간인 목기운을 저장함 (씨앗)
  • POINT ! → 삼합을 이루는 기운은 중기에서 작용.
    삼합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는 이유 → 삼합의 힘은 중기의 강건함을 상징하기 때문

금의 삼합 (가을의 삼합)_ 사유축 (巳酉丑)

  • 사화 (경 + 병화)
    유금 (신)
    축토 (계수 + 신 + 기토)
  • 사화에서 시작해,
    유금에서 왕성함이 절정에 이르고,
    축토에서 마지막 기세를 올린 다음 사라짐.
  • 사화는 목기운의 과거이자, 출발 · 예비 · 발통 · 도약 · 씨앗
    유금은 목기운의 현재이자, 진행 · 완성 · 정점 · 꽃
    축토는 목기운의 미래이자, 도착 · 마무리 · 정리 · 착지 · 낙화
  • 과거 + 현재 + 미래를 연결해주는 삼합의 의미는 지장간으로 이해할 수 있음.
    • 생지의 중기가 양간으로써, 목기운을 힘차게 열어줌 (기세)
    • 왕지의 정기에서 목기운은 완성됨 (본체)
    • 고지의 중기에 음간인 목기운을 저장함 (씨앗)
  • POINT ! → 삼합을 이루는 기운은 중기에서 작용.
    삼합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는 이유 → 삼합의 힘은 중기의 강건함을 상징하기 때문

수의 삼합 (겨울의 삼합)_ 신자진 (申子辰)

  • 신금 (임 + 경금)
    자수 (계)
    진토 (을목 + 계 + 무토)
  • 신금에서 시작해,
    자수에서 왕성함이 절정에 이르고,
    진토에서 마지막 기세를 올린 다음 사라짐.
  • 신금는 목기운의 과거이자, 출발 · 예비 · 발통 · 도약 · 씨앗
    자수은 목기운의 현재이자, 진행 · 완성 · 정점 · 꽃
    진토는 목기운의 미래이자, 도착 · 마무리 · 정리 · 착지 · 낙화
  • 과거 + 현재 + 미래를 연결해주는 삼합의 의미는 지장간으로 이해할 수 있음.
    • 생지의 중기가 양간으로써, 목기운을 힘차게 열어줌 (기세)
    • 왕지의 정기에서 목기운은 완성됨 (본체)
    • 고지의 중기에 음간인 목기운을 저장함 (씨앗)
  • POINT ! → 삼합을 이루는 기운은 중기에서 작용.
    삼합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는 이유 → 삼합의 힘은 중기의 강건함을 상징하기 때문

삼합의 인문학적 해석

  • 하나의 기운은 혼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 속에서 과거, 미래와 함께 공존함
  • 부모 - 자식 - 손주 세대를 아우름을 의미
  • 삼각형의 조합으로 균형을 만드는 의미 (삼재, 삼원)
  • 하나의 존재는 시간적으로 전생, 현생, 후생 (조상, 나, 후손) 이 연결되는 인연의 의미
  • 시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이어져 있음. 동기감응 (풍수지리) - 같은 기억
    DNA를 공유하고 있으면 기가 연결됨. 기억, DNA = 지장간
  • 사람은 사회적 연결망 안에서 존재함.
    상사 - 나 - 부하직원
    원청 - 나 - 하청
    도매 - 나 - 소비자
  • 네 칸이나 떨어진 낯선 거리에서 나의 존재를 확인함.
    낯선 사람과의 만남을 통해 조화를 이룰 수 있음 – 동성동본 (근친) Χ, 교류를 통한 발전
  • 모든 일에는 순서와 과정이 있음
  • 낯선 관계의 어우러짐이 진정한 시너지를 만들어 냄 (회사, 직장)

삼합의 활용

  • 해묘미 (亥卯未)
    • 해 (갑, 임) + 묘 (을) → 해수에서 갑목의 기분이 좋음
    • 묘 (을) + 미 (정, 을, 기) → 미토에서 을목이 기분이 좋음 + 미토에서 기토의 영향력 제한(될 수 있음)
    • (갑, 임) + 미 (정, 을, 기) → 아무 변화 없음
    • 삼합으로 인한 변화 → 중기 (묘) 의 세력이 압또적일 때 해수 or 미토의 정기의 기능 제한
    • 삼합의 해당하는 기운 3개가 모여있다고 해서, 특별한 변화는 생기지 않음. (새로운 기운이 샘솟지도 않음)
  • 인오술 (寅午戌)
    • 인 (병, 갑) + 오 (정) → 인목에서 병화의 기분이 좋음
    • 오 (정)  + 술 (신, 정, 무) → 술토에서 정화의 기분이 좋음 + 술토에서 신금의 기분이 나쁨
    • 인 (병, 갑) + 술 (신, 정, 무) → 갑목이 무토를 극함
    • 삼합으로 인한 변화 → 중기 (오) 의 세력이 압또적일 때 인목 or 술토의 정기의 기능 제한
    • 삼합의 해당하는 기운 3개가 모여있다고 해서, 특별한 변화는 생기지 않음. (새로운 기운이 샘솟지도 않음)
  • 사유축 (巳酉丑)
    • 사 (경, 병) + 유 (신) → 병신합으로 사화 + 신금이 잘 융합함.
    • 유 (신) + 축 (계, 신, 기) → 축토의 신금이 기분이 좋음.
    • 사 (경, 병) + 축 (계, 신, 기) → 아무 변화 없음.
    • 삼합으로 인한 변화 → 중기 (유) 의 세력이 압또적일 때 사화 or 축토의 정기의 기능 제한
    • 삼합의 해당하는 기운 3개가 모여있다고 해서, 특별한 변화는 생기지 않음. (새로운 기운이 샘솟지도 않음)
  • 신자진 (申子辰)
    • 신 (임, 경) + 자 (계) → 신금에서 임수의 기분이 좋음.
    • 자 (계) + 진 (을, 계, 무) → 축토의 신금이 기분이 좋음.
    • 신 (임, 경)  + 진 (을, 계, 무) → 아무 변화 없음.
    • 삼합으로 인한 변화 → 중기 (자) 의 세력이 압또적일 때 신금 or 진토의 정기의 기능 제한
    • 삼합의 해당하는 기운 3개가 모여있다고 해서, 특별한 변화는 생기지 않음. (새로운 기운이 샘솟지도 않음)

삼합의 결과로 합화가 일어난다?

천간합과 마찬가지로 삼합의 조합에서 2개나 3개의 간지가 만나서 새로운 기운을 뿜어내거나,

하나의 간지가 마법처럼 다른 간지로 바뀐 다고 생각하는 것은 금물.

  • 삼합은 지장간의 '중기' 에 해당하는 간지끼리 연합하는 상황.
  • 원국이나 대운의 상황에서 지장간의 중기에 해당하는 세력이 아주 왕성했을 때에 한정해서,
    지장간의 정기에 해당하는 오행의 힘이 위축됨.
  • 이런 특수한 상황에서 지장간의 정기에 해당하는 오행의 힘이 위축되면서 관찰자에게는 새로운 기운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음. 따라서 오해는 금지 !

 III. 지지들의 관계 - 육합 

 

정의 : 2개씩 짝을 이루는 합, 같은 층위의 합

태양의 고도의 관점에서 같은 층위에 있는 지지가 사실은 '같은 몸의 두 얼굴' 이라는 것이 육합의 전제

 

같은 레벨, 층위, 위상이기에 그 근원에서는 서로 친밀하다는 것! (feat. 자평진전 : 육합은 이웃간의 합)

 

하지만 육합 또한, 마법의 기운처럼 이해하는 것은 옳지 않다.

지장간의 결합으로 작용을 이해해야 한다.

삼합과 마찬가지로 무조건 합이 된다, 무조건 변한다라는 관점은 위험함.

 

육합(六合) - 자축합

물상적 : 살얼음이 낀 추운 땅에 비가 내린 형국

사주원국에 '토' 기운이 강화되어 있다면, 넓은 땅으로 인해 물이 파묻힌 상황

사주원국에 '수' 기운이 강화되어 있다면, 비가 내리면서 호수가 형성되는 상황

 

즉, 자축합은 사주원국의 전체 형세에 비추어,

토가 많다면 자수의 위축 (기능저하)

수가 많다면 축토의 위축 (기능저하)

 

육합(六合) - 인해합

인목의 입장 : 해수에 의지할 수 있어서 기분 좋음

해수의 입장 : 중기의 갑목이 기분 좋음.

→ 전체적으로 목의 기분이 좋음. (수생목의 관계로 기분좋게 공존함.)

 

육합(六合) - 묘술합

술토의 입장 : 지장간의 정화가 기분 좋음.

묘목의 입장

특별하게 합이 좋아보이지는 않으나, 둘의 관계가 안정적인 이유?

수직 에너지 (목) 와 수평 에너지 (토) 의 만남. 음과 양의 만남

 

육합(六合) - 진유합

진토의 입장 : ?

유금의 입장

진토의 터전에 의지함.

생의 관계로써의 조화

음양의 조화 (여유롭게 의젓한 대지인 진토와 날카롭고 예민한 유금의 만남)

 

육합(六合) - 사신합

사화 중 병화가 신금 중 경금을 극하려 들지만,

신금 중 임수에 의해 제어당하며, 화극금의 이치가 잘 드러나지 않고 화와 금의 조화가 일어남.

따라서, 사화 + 신금 일 때는 화극금이 아니라 화와 금이 대치하며 절묘히 융합한다고 보면 됨.

++

지지의 화와 금의 정리

사 + 신

오 + 신 = 음양의 차이로 공존

사 + 유 = 삼합 (천간합)

오 + 유 = 오화가 유금을 극함

 

육합(六合) - 오미합

방합으로 설명가능.

오화와 미토가 만나면, 미토안의 정화가 기분이 좋음.

 

육합(六合) 깊이 살펴보기

자축합 = 토? or 수?

자수와 축토가 만났을 때는 주변 (원국)의 상황을 살펴야 함.

→ 수 기운의 강화 or 위축

합의 의미 : 토와 수의 공존이 가능

WHY? 정기는 극의 관계지만 지장간에서 화해가 이루어지기 때문.

 

묘술합 = 화?

묘목과 술토가 만나면, 술토의 화기운이 강해짐.

묘목 = 술토에 뿌리를 내리고 안정적으로 자리 잡음.

술토 = 드디어 안정을 취할 수 있는 여지가 생김 (관의 긍정성)

합의 의미 : 목과 토의 공존을 통한 조화가 가능

 

기운의 특성상 목과 토는 환상적인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음.

목의 수직 에너지는 안정과 평화를 원하고,

토의 수평에너지는 변화와 새로움을 원함.

두 기운의 성향 차이에 따라, 서로 보완관계를 형성

목과 토의 만남은 물상적으로도, 땅에 나무를 심거나, 땅에 건물을 올리는 등으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음.

 

인해합 = 목?

인목과 해수가 만나면 수생목으로 목기운이 강해짐.

인목 = 의지할 해수로 인해 기분 좋음.

해수 = 해수 안의 갑목의 힘이 강화됨.

합의 의미 : 생을 주고 받는 관계로 잘 어우러짐.

의미 : 엄마와 자식이 함께 손을 잡고 있는 형국.

 

진유합 = 금?

진토와 유금이 만나면 토생금으로 금기운이 강해짐.

진토 = 큰 변화 없음

유금 = 기운이 강해짐.

합의 의미 : 생을 주고 받는 관계로 잘 어우러짐.

의미 : 엄마와 자식이 함께 손을 잡고 있는 형국.

 

오미합 = 화?

오화와 미토가 만나면 화기운이 강화됨.

오화 = 큰 변화 없음

미토 = 화기운이 강화됨.

합의 의미 : 생을 주고 받는 관계로 잘 어우러짐.

의미 : 엄마와 자식이 함께 손을 잡고 있는 형국.

 

사신합 = 수?

두 기운이 조화를 잘 이룸.

사화와 신금이 만났을 때 주변상황을 잘 살펴야 함.

→ 금 기운의 위축 or 화 기운의 위축

합의 의미 : 화와 금의 공존이 가능

WHY? 정기는 극의 관계지만 지장간에서 역전이 이뤄짐.

 

화와 금이라는 아주 이질적인 두 기운의 만남은 파극을 빚어낼 수 밖에 없음.

하지만 지지에서 만난다면, 둘은 극적인 화해를 할 수 있음.

사신합의 진정한 의미는 화기운과 금기운이 서로 연합할 수 있다는 점


 IV. 지지들의 관계 - 충(沖) 

 

정의 : 부딪혀서 서로 양보하지 않음.

태양의 고도, 계절, 시간상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피한 극단적으로 다른 기운들과의 관계

기본의미 : 낯설고 어색하고 불편함, 많은 변동성, 변화

 

자오충(자오극)

자수와 오화가 대등하게 대립한다고는 보기 어려움

자수안에는 수기운만 있고, 오화 안에는 화기운만 있기 때문

자오충이 형성되면, 수극화로 인해 훨씬 위축되는 기운은 화기운이기 때문에, 오화가 무력해짐.

 

의미 (정신적인 면 부각)

1. 극음으로 인한 극양의 제어

2. 극단적인 움직임, 큰 변화, 방향의 급선회

3. 정서적 불안 (업다운의 반복, 흥분과 침체, 조울증)

 

축미충(?)

대립한다고 보기가 어려움.

축토와 미토 모두 정기에 오행 토를 가지고 있기 때문.

정기는 지지를 대표하는 기운으로 지지에서 정기를 무시하는 것은 금물.

같은 정기를 공유하고 있으니, 축토와 미토는 대립한다고 보기 어려움.

다만, 지장간의 요소들이 갈등하고 있으므로, 겉으로는 화합해도 내면은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조금은 있을 수 있음.

 

의미

1. 기토안에서 일어나는 갈등

2. 웅크림의 와중에 펼쳐지는 불안과 갈등, 고민의 증대

 

인신충(!)

진짜 충!

아주 유심히 잘 살펴야함. 생지끼리의 충이기 때문.

양간끼리 대립하니 그 영향력이 훨씬 크고 극명함.

서로 꼬리에 꼬리를 물며, 대립하는 양상을 보여 갈등이 크고 명확함.

신금이 인목을 확실히 저지한다, 라고 보기 어려움.

그렇다고 인목이 자신의 목소리를 제대로 내었다고 보기에도 어려움. (그래도 인목이 위축되는 건 금극목으로 어쩔 수 없음.)

 

의미 의미 (신체적인 면 부각, 갈등과 사고)

1. 큰 갈등과 발전, 반목과 성취

2. 신체적인 아픔과 사고 동반

3. 좌충우돌의 삶, 많은 이동, 다양한 관심사

 

묘유충(묘유극)

자오충과 마찬가지로, 묘목과 유금이 만나서 대등하게 대립한다고 보기 어려움,

묘목 안에는 목의 요소만, 유금 안에는 금의 요소만 들어있기 때문.

묘유충 역시 위축되는 기운은 목기운이라서 묘목이 무력해짐.

자오충은 정신적 의미가 강하다면, 묘유충은 신체적의미가 강함.

 

의미 (신체적인 면 부각)

1. 하반신의 사고, 소관절의 통증 (팔꿈치 아해, 무릎 아래)

 

진술충(?)

대립한다고 보기가 어려움.

진토와 술토 모두 정기에 오행 토를 가지고 있기 때문.

정기는 지지를 대표하는 기운으로 지지에서 정기를 무시하는 것은 금물.

같은 정기를 공유하고 있으니, 진토와 술토는 대립한다고 보기 어려움.

다만, 지장간의 요소들이 갈등하고 있으므로, 겉으로는 화합해도 내면은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조금은 있을 수 있음.

 

의미

1.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정신적 방황

2. 일의 진행이 깔끔하지 않고, 한 번의 부침을 겪고 나서 진행

3. 형이상학적 가치관의 추구 (토의 과다)

 

사해충(사해극)

아주 유심히 잘 살펴야함. 생지끼리의 충이기 때문.

양간끼리 대립하니 그 영향력이 훨씬 크고 극명함.

인신충과 다르게 사화안에 경금은 병화를 돕지 않고,

병화에게 도움을 주는 해수안의 갑목을 극하고 있음.

평생 극을 당해오던 경금의 배신 (업보로 인해 무너지는 사화)

따라서 대등한 의미의 충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사화의 극이라고 봐야 함.

 

의미 (정신적인 면 부각)

1. 정신적인 분열, 불안정

2. 억울함, 분노, 방황


 V. 지지들의 관계 - 암합 (暗合) 

 

정의 : 지지의 지장간 정기끼리 천간합의 관계가 형성되는 상황

종류 : 자술(무계합), 자진(무계합), 축인(갑기합), 인미(갑기합) 묘신(을경합), 사유(병신합), 오해(정임합)

해석 : 지지의 의미가 서로 결합하는 것, 십신의 결합, 묘신합의 경우 암함의 의미부여 가능.

→ 사주에 신금을 가진 사람이 계묘년을 만나면? 신금의 기능과 묘목의 기능이 잘 융화하여 드러남.적용방법 : 천간합의 방식을 그대로 적용궁금증? : 묘신암합 이외에 다른 암합은 의미부여가 어려운 이유? 지지의 다양한 요소가 섞여 있기 때문에 합의 영향력이 잘 드러나지 않음.자술 : 자수의 위축으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음자신 : 신자진 삼합으로 이해 가능

축인 : 잘 드러나지 않음 (불편한 동거)

인미 : 잘 드러나지 않음 (불편한 동거)

묘신 : 아주 잘 드러남

사유 : 사유축 삼합으로 이해 가능

오해 : 잘 드러남

 

간지암합

 

정의 : 하나의 간지 안에서 천간과 지장간 정기가 천간합의 관계일 때

종류 : 정해, 무자, 신사, 임오

해석 : 천간과 지지가 서로 결합함을 의미

 

월주 / 시주에 놓였을 때

1. 십신의 의미 결합

2. 천간에 놓인 기운 (월간, 시간)이 제대로 힘을 쓰지 못함. → 천간이 일간을 보는 게 아니라 지지와 사랑에 빠지기 때문

 

일주에 놓였을 때

1. 강하게 정관 / 정재를 지향하는 성향으로 드러남

2. 남 모르는 비밀 연애, 드러나지 않는 연애 감정


 VI. 지지들의 관계 - 해(害), 파(破), 형(刑), 삼형(三刑) 

 

해, 육해 (六害)

육합에서 파생된 이론

정의 : 육합을 방해하는 기운

관계 : 육합을 하는 지지와 충을 하는 관계

종류 : 자미해, 축오해, 인사해, 묘진해, 신해해, 유술해

해석 : 의미부여 할 필요없음 → 육합과 충의 결합이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 냈음을 확인

 

파 (破)

삼합에서 파생된 이론

정의 : 서로 깨뜨리는 기운

관계 : 삼합에서 파생된 생지 · 왕지 · 고지 끼리의 갈등

종류 : 사신파, 자유파, 축진파, 인해파, 오묘파, 술미파

해석 : 의미부여 할 필요없음

 

형 (刑), 삼형 (三刑)

삼합과 방합의 조합에서 나온 이론

정의 : 형벌을 내림

관계 : 삼합과 방합의 조화가 어긋날 때 형벌을 내림

종류자형 : 해해, 진진, 유유, 오오

삼형 : 인사신, 축술미

상형 : 자묘, 묘자

해석 : 인사신의 경우만 변동성이 큰 것, 큰 성취와 좌절, 큰 힘을 행사하려는 양간의 성향이 드러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