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현묘님강의정리) 19

[250408 / 고급 4강] 십이운성과 종격

>>출처 : 25.04.08 명리학자 "현묘" 5기 수업반 강의이 글은 5기 수업반 수강생이 강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무단 공유 및 복제를 금합니다.십이운성이란?특정 지지와 천간의 관계를 통해 천간의 "나이 · 기분 · 상황 · 상태 · 조건 · 분위기"를 확인하는 방법론 하나의 천간이 개별의 지지를 만날 때 각각 어떤 입장에 처하는지 정리한 이론이다.장점12개의 지지의 흐름안에서 현재의 상태 파악 가능 (변화과정 관찰 가능)천간의 힘 뿐 아니라, 구체적인 상태 파악 가능탄생과 성장, 쇠약과 죽음이라는 인간사의 관점에서 변화 관찰 가능천간의 상황을 확인하는 방법론들십신 : 천간에 대한 지지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음.왕상휴수사 : 천간의 힘의 크기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억부론 : 천간의 힘의 크기를 ..

[250401 / 고급 3강] 고전의 이해 (근대명리학의 발전)

>>출처 : 25.04.01 명리학자 "현묘" 5기 수업반 강의이 글은 5기 수업반 수강생이 강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무단 공유 및 복제를 금합니다.『명리약언』의 저자 진소암『명리약언』의 저자인 진소암(陳素庵) 은 명나라 말기부터 청나라 초기에 걸쳐 활동한 인물(1605~1666)이다. 그는 최고 명문가 출신으로 소개되며, 당대에서 손꼽히는 관리이자 시인이며 명리학자로 평가된다.진소암의 삶진소암은 명말에 진사 과거에 급제하였고, 이후 청대에 들어서는 최고 관직인 ‘대학사’를 역임하였다. 그러나 이후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귀양을 가는 말년을 보내게 된다.주요 저서『명리약언』: 명리학의 여러 이론을 요약 정리한 책으로, 진소암의 핵심 저작이다.『적천수집요』: 명리 고전 『적천수』를 요약·편집한 저작으로,..

[250304 / 중급 8강] 운

>>출처 : 25.02.25 명리학자 "현묘" 5기 수업반 강의이 글은 5기 수업반 수강생이 강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무단 공유 및 복제를 금합니다.    I. 세운  개념잡기 1996년 12월 29일 신시에 태어난 아이는 병자년 경자월 경자일 갑신시의 의미를 가지고 세상을 살아감.아이는 매 2시간마다 (시주주기) 새로운 세상의 기운을 맞이함.ex. 태어난지 2시간뒤에는 병자년 경자월 경자일 갑신시 다음인, 병자년 경자월 경자일 을유시와 만남.8 * 8 의 기본적인 운의 해석명리라는 운이라는 개념이란? → 매시간 맞닥들이는 새로운 기운들과의 상호작용 !지구의 시간의 의미는 8자의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어서,어떤 시간에 놓인 특정 사람의 기운은 8 * 8의 조화로써 해석이 가능함.But.. 8 * 8을 ..

[250225 / 중급 7강] 길흉과 용신

>>출처 : 25.02.25 명리학자 "현묘" 5기 수업반 강의이 글은 5기 수업반 수강생이 강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무단 공유 및 복제를 금합니다.    I. 명리로 할 수 있는 일    1. 성향과 적성, 본질 파악 원국의 T존과 오행 분포로 개인이 선천적으로 지닌 특징 이해 T존은 삶에서 중요한 무기로 작용하여, 직업과 심리에 직결되는 영향력을 미친다. 과다한 오행은 그 힘이 두드러져 한 사람의 성향을 좌우한다.또한 해당 오행의 과잉은 부정적 면모의 원인이 되기도 함 (예: 화가 과다한 경우, 관성이 과다한 경우 등). 원국 내 간지 간의 관계로 세부 특성 이해 월간과 시간이 서로 극한다면? → 도구(능력)를 사용하는 데에 거슬림이 따를 수 있음 일지가 극/충을 받으면? 변화가 잦고 ..

[250218 / 중급 6강] 지지들의 관계

>>출처 : 25.02.18 명리학자 "현묘" 5기 수업반 강의본 내용은 5기 수업반인 학생으로서 강의내용을 정리한 것이므로,무단 공유 및 복제를 금합니다.  I. 지지들의 관계 - 방합  방합(方合) : 같은 계절을 의미하는 지지들끼리의 모임 생지왕지고지수의 방합해(亥)자(子)축(丑)목의 방합인(寅)묘(卯)진(辰)화의 방합사(巳)오(午)미(未)금의 방합신(申)유(酉)술(戌) 목의 방합 (봄의 방합)_ 인묘진 (寅卯辰)인목 (병화 + 갑목)묘목 (을목)진토 (을목 + 계수 + 진토)함께있으면 강화되는 오행 : 목(木)지장간의 관점에서 이해와 활용지지에 인묘진 · 인묘 · 묘진 · 인진이 모여있다면, 지장간의 목기운의 연합으로 목기운이 강화됨.화의 방합 (여름의 방합)_ 사오미 (巳午未)사화 (경금 + 병..

[250211 / 중급 5강] 천간합화와 십신 그리고 지장간

>>출처 : 25.02.11 명리학자 "현묘" 5기 수업반 강의본 내용은 5기 수업반인 학생으로서 강의내용을 정리한 것이므로,무단 공유 및 복제를 금합니다.   I. 천간합의 정리   양간과 음간의 특성1. 양간은 '극을 하는 것' 을 반긴다.2. 양간은 '극을 당하는 것' 을 꺼린다.3. 음간은 '극을 하는 것' 을 꺼린다.4. 음간은 '극을 당하는 것' 을 반긴다. 상황 1. 양간이 양간을 극할 때 → 양 (난 극하는 게 좋아 !) VS 양 (난 극 당하는 게 싫어 !) 상황 2. 양간이 음간을 극할 때 → 양 (난 극하는 게 좋아 !) VS 음 (난 극 당하는 게 좋아 !) : 1000년의 사랑 💕 상황 3. 음간이 양간을 극할 때 → 음 (난 극하는 게 싫어 !) VS 양 (난 극 당하는 게 싫..

[250204 / 중급 4강] 천간들의 관계

>>출처 : 25.02.04 명리학자 "현묘" 5기 수업반 강의본 내용은 5기 수업반인 학생으로서 강의내용을 정리한 것이므로,무단 공유 및 복제를 금합니다.   I. T존의 활용예시  1. 시간의 편재2. 월간의 경금3. 일지의 상관 → 해석의 방법총론 : 식신의 환경에서 비견을 더해 편재를 사용함. 삶의 터전 [상관]자신의 현실적 힘인 일지의 상관을 이용해, 마크업을 하는 웹 퍼블리싱* 일에 종사하였었음.* 웹퍼블리싱 : HTML, CSS, JAVASCRIPT (JQUERY) 등을 이용하여, 웹 사이트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일일을 할 때 진취적인 편이었으며, 어떻게 하면 코드를 더 깔끔하고 발전적으로 쓸 수 있을까 연구를 많이 하였음. (상관의 힘) 도구 1 [편재]사람을 좋아하며, 많은 사람들과 네..

[250121 / 중급 3강] T존과 거리의 의미

>>출처 : 25.01.21 명리학자 "현묘" 5기 수업반 강의본 내용은 5기 수업반인 학생으로서 강의내용을 정리한 것이므로,무단 공유 및 복제를 금합니다.  I. 거리의 문제 꼭 바로 옆에 붙어 있어야 하나?한 칸 떨어졌을 때는 어떤가? 주기와 거리거리를 바라보는 두가지 관점인간을 이루는 기운은 하나이므로, 기운을 나눌 수 없다.따라서 거리의 문제를 민감히 따질 필요는 없다.인간을 이루는 기운은 네 개의 서로 다른 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나눠서 생각해야하며, 간지의 거리의 문제는 아주 중요하다.거리는 아주 중요하다 !WHY? → 주기의 차이가 크게 난다는 것은 그만큼 이질적이라는 의미이기 때문.1년을 주기로 바뀌는 기운 (연주) 과 ↔ 2시간을 주기로 바뀌는 기운 (시주)이게 과연 서로 비슷하다고 볼 ..

[250114 / 중급 2강] 사주의 체계와 자리의 의미

>>출처 : 25.01.14 명리학자 "현묘" 5기 수업반 강의본 내용은 5기 수업반인 학생으로서 강의내용을 정리한 것이므로,무단 공유 및 복제를 금합니다.  I. 사주의 체계  Prologue. 명리와 점술의 차이명리학과 점술은 인간의 기운을 이해하는 방식에서 독보적인 차이를 보인다.점술은 인간의 기운을 추상적이고 비유적인 방식으로 풀어내며, 상징과 감각적인 해석에 중점을 둠.명리학은 인간의 기운을 체계적이고 계층적인 구조로 분석하여, 보다 논리적이고 구조화된 이해를 제공함.이처럼 두 접근법은 각기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인간의 삶을 조명한다.연월일시와 사주의 체계명리학에서는 인간이 태어난 시점을 연월일시의 층위로 파악하며, 이는 기운의 흐름과 운명에 큰 영향을 미친다.연월일시..

[250106 / 중급 1강] 십신이 많을 때와 적을 때

>>출처 : 25.01.06 명리학자 "현묘" 5기 수업반 강의본 내용은 5기 수업반인 학생으로서 강의내용을 정리한 것이므로,무단 공유 및 복제를 금합니다.  I. 없는 오행  없는 오행이 있다면?→ 그 기운이 쓰기 어려움을 암시한다. ex) 만약에 토기운이 없다면?→ 안정성 · 평정심 · 중심과 조화 · 느긋함 (여유) 가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ex) 만약 그 토기운이 재성이라면?→ 재물 감각 · 인적 네트워크 · 사물을 보는 시야 · 융통성이 현저히 떨어짐을 의미 무자론(無子論)에 대한 요약무자론의 주장없는 오행(십신)의 기운을 오히려 갈망하고 보충하려는 욕망으로 인해 잘하게 된다.예: 무재팔자는 재물을 갈망해 부자가 되고, 무식상은 말을 잘하게 된다.명리학의 반론명리학의 전제: 인간은 태어난 ..